본문 바로가기

한국사공부

16대 인조

반응형

16대 임금 인조

선조와 더불어 무능, 찌질, 비겁 , 패악..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1 인조반정 - 서인 세력을 모아서 광해군을 끌어내림. 

북인세력 대북세력 광해군 세력을 없앰.. 

친명 배금.! 

 

2 이괄의 난 : 이괄은 최고 공신인데 2등공신으로 .. 

그리고 어느날 역모고변이 올라옴. > 아들이 역적. 

군대 끌고 서울로 감. 인조는  공주로 파천함 . 

이괄은 죽음

 

3 정묘호란 - 광해군의 원수를 갚는다. ( 명나라 정복) 

인조의 두번째 파천. (강화도로 도망) 강화조약을 걸고 끝

 

4. 병자호란 - 남한산성으로 파천, 버티기. 

남한산성 영화참고 -김상헌과 최명길이 있음. 

김상헌: 김윤석 - 주전파

최명길: 이병헌 - 주화파

 

논쟁 끝에 항복하자 함 . 

강화도로 피난간 왕비 손자가 잡힘. 

 

삼전도 굴욕.

 

5. 대동법 확대 - 강원도까지 실행

 

6. 개시 시작. 청나라와 공공 무역 시작. 

 

7. 서양문물 들어옴 - 소현세자가 서양문물을 접함

 

8. 영정법 실시 - 비옥도와 풍흉년에 따라 연분 9등법 -> 비옥도에 따라 4~6두 고정 > 영정법

 

9. 군제 정비: 조선후기 중앙군사체제를 5군영임 , 훈련도감(선조때, ) 어영천, 충융청, 수어청 , 금위영 5개. 인조때 3개 설치.

 

10. 소현세자는 청의 문물을 보고 왔지만 독살당함... 

인조가 세자빈에 세손까지 다 죽임.

 

결국 봉림대군이 왕위 물려받으며 효종이 됨 . 

 

반응형

'한국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정리 -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  (0) 2019.07.24
한국사 정리 - 구석기 신석기 시대  (0) 2019.07.23
15대 광해군  (0) 2019.05.21
임진왜란  (0) 2019.05.21
붕당의 시작. (동서남북)  (0) 2019.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