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공부

한국사 정리 -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

반응형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00년경에서 1500년경 사이이며,

철기시대는 기원전 5세기 경에 시작 되었습니다. 

 

청동기는 본격적으로 농업이 식량 생산의 중심인 사회가 되었고, 거주지는 주로 강이나 산 구릉지에 위치해 배산임수의 취락을 형성하였다. 주거형태는 움집에서 지상 가옥형태로 변화하였으며, 
본격적인 농업이 시작되면서 조, 수수, 보리, 콩 등을 재배하고, 곡식을 수확하는 반달돌칼 돌괭이 바퀴날도끼 등 간석기를 사용했으며, 토기는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등을 사용하였다. 

청동기는 비파형 동검이나 거친무늬 거울과 같은 무기 제기, 장신구등을 만들기 시작했다. 
청동검을 위한 거푸집도 우리 나라 전역에서 발견되엇다. 

비파형 청동검 과 청동검 거푸집

하지만 알아둬야하는건 청동기라고 해서 모든 사람이 청동기 물건을 쓴건 절대 아니다. 

대부분은 석기를 사용했으며 일부 지배층만이 청동 물건을 사용했다.

청동기 시대는 농경의 발전으로 인해 잉여 사유물이 발생했고, 이로인해 생산물 차지를 위한 전쟁이 벌어지며 피지배자와 지배자 계층(계급)이 생겼다. 지배 계층은 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 믿는 선민사상을 가졌으며, 청동제 무기로 주변을 정복해 주변을 정복하였고, 이 과정에서 군장이 등장하였으며, 군장이 죽으면 고인돌이라는 무덤에 시신을 묻었다. 

청동기 시대 고인돌

 

철기 시대는 기원전 5세기 경에 시작했으며 철기가 도입되면서 삽 , 괭이 , 낫과 같은 철제 농기구가 만들어져 농업 생산량이 급격하게 늘어났고, 저수지가 축조되면서 벼농사와 목축이 확대되었다. 

철기시대에는 비파형 동검 에서 세형동검으로, 거친무늬 거울은 잔무늬 거울로 변화하고, 청동은 의례용 도구로 변화하게 되었다. 

토기의 경우 민무늬 토기 왜 덧띠토기 검은 간 토기등이 사용되었고, 무덤의 경우 나무 널에 넣어 시신을 매장시킨 널무덤과 평평한 돌을 상자 모양으로 만든 돌무덤, 항아리 2개를 이어붙인 독무덤 등이 있다. 

또한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명도전 방량전 오수전 등 화폐가 발견되어 중국과 활발한 교류가 이뤄졌음을 알수있으며,
다호리 에서 발견된 붓은 이미 한자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