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사업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학 실험실 기술 창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술사업화란 간단하게 말해 기술을 이용해서 제품의 개발과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기술사업화의 유형으로는 양도, 실시권 허락, 기술지도, 공동연구, 기술창업, 합작 투자 또는 인수합병(M&A)등이 있으며 상호간에 배타성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각 기술화의 유형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유형 | 주요내용 | 구분 |
양도 | 기술 보유자가 기술도입자에게 기술 소유권을 이전함 | 기술이전, 기술거래 |
실시권 허락 | 기술도입자에게 라이센스를 줌(실시권) | 기술이전, 기술거래 |
기술지도 | 기술 적용을 위한 교육/훈련 제공. | 기술이전, 기술거래 |
공동연구 |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공동연구 수행 | 기술이전 |
기술창업 | 기술연구자 등 소속직원이 직무발명등을 이전받아 창업 | 기술이전 |
합작투자 | 제3의 기업을 설립하고 사업화를 추진. | 기술이전 |
기술지주회사 |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하고 보유기술을 자본금 형식으로 출자해 기술사업를 목적으로 자회사를 운영함 | 기술이전 |
인수합병(M&A) | 사업화 추진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경영인프라를 보유한 기술보유자 기업등을 인수함 | 기술거래 |
크로스 라이선스 | 특허권 관하여 상호간에 실시권(라이센스)를 부여함. | 기술거래 |
대학 및 공공연구소는 창출된 연구성과를 기업에 이전하기 위해서 기술이전 및 사업화전담조직인 TLO을 설치 하고 운영합니다.
여기서 TLO란 Technology Licensing Office이며 기본 기능은 발명신고지원, 신고된 발명의 사업화 가능성평가, 발명의 출원 지원, 잠재적 기술도입기업 발굴 및 마케팅, 기술이전 계약협상, 기술이전 사업관리, 등을 하는 조직입니다.
규모가 큰 TLO의 경우 창업 관련 지원업무 등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TLO에 대해서는 기회가 된다면 조금 더 자세히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술사업화의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이디어 > R&D > Tech / IP > Product /Service > Marketing > EXIT
아이디어: 좋은 아이디어 단계. 또는 새로운 기술 개발 할 가능성 발견할 단계
R&D : 좋은 기술 또는 아이디어를 구체화 하기 위한 연구 단계
Tech / IP : 기술이나 지적재산 등이 나오는 단계
product / Service : 시제품과 엔지니어링 기술이 나오는 단계
Marketing: 나온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전략
EXIT: IPO , M&A 등
기술사업화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긴시간이 필요하며 불확실성이 매우 큰 프로세스 입니다.
소요비용은 R&D 단계에서 투자된 비용의 10~100배 규모이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사업 성공률은 5% 미만이며 평균 6년 이상 소요되며 원천기술의 경우 더욱 장기간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기술 사업화의 실패 요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사업화의 실패 배경으로 1. 기술사업화 능력 부족 2. 정책 실패 이렇게 2가지가 스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 기술사업화 능력부족 : 기술경영 전문대학교 설립
2. 정책실패 -> death valley 극복 -> 정부의 개입 정부의 지원.
이 필요합니다. 특히 정책 기술사업화 지원하는 정책이 중요합니다.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의 3가지 계곡입니다.
그중 하나가 죽음의 계곡입니다.
시제품 개발을 하고 생산 단계에서 많은 기술회사들이 실패하게 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제품 개발자금 및 시장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그중 자금 조달을 위해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현재 TIPS 또는 VC등의 매칭등이 자금조달을 위한 대책으로 준비되어있습니다.
투자 자금에 대한 부분 또한 기회가 된다면 포스팅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리하자면 기술사업을 통한 성공적인 기업이 되려면 적절한 정부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정부의 기술사업화 촉진 수단
구분 | 기술사업화 촉진 수단 |
제도 개선 및 사업화 투자 |
기술 사업화 공로자에 대한 포상 국가 차원의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추진 정부의 국정 우선시책으로 공표 관련 규제의개선 |
기술시장 조성 |
기술이전 시장 조성 및 활성화 기술 및 시장분석 정보의 창출과 보급 기술시장 참여자간 네트워크 구축 |
신기술 제품의 시장진입 촉진 |
신기술 및 신제품 인증 활서오하 신기술 제품 구매시 세금 해택 부여 기술 및 제품의 표준화 확립 지원 |
사업화 잠재역량 확충 |
기업 연구개발의 사업화 지원 공동 연구개발 장려 |
여기까지 기술사업화 이해와 프로세스 정부 지원정채의 필요성 및 촉진 수단이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대학 실험실 창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노베이터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노베이터 교육 - 지식재산권의 이해 , 발명의 정의! (0) | 2019.09.27 |
---|---|
이노베이터 교육 - 대학 실험실 기술 창업 (0) | 2019.09.24 |
특허요건 및 특허권의 효력 (0) | 2019.09.24 |
지식재산권의 개요 및 이해 (0) | 2019.09.23 |
이노베이터란? 기술사업화의 배경에 대해서 (0) | 2019.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