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노베이터 교육

이노베이터란? 기술사업화의 배경에 대해서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란입니다.

최근 근황을 알려드리자면, 좋은 기회를 통해 이노베이터 육성사업의 대상자로 선정이 되었네요.

따라서 약 2달 반 정도의 기간동안 기본적인 이노베이터 교육을 받게 되었습니다.

교육받은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한 후 복습할 겸 정리할 계획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이노베이터란 실무 중심 창업과 기술 사업화 및 아이디어 발굴에서 비즈니스 모델 구축까지 실험실 창업 전문지원을 전담하는 인력입니다. 

이노베이터가 된다면 실험실 창업과 교원 창업 그리고 기술지주회사, 산학협력 쪽 일을 같이 겸해서 일하게 됩니다.

 

일단 우리나라 기술사업화 배경부터 알아봐야됩니다.

대기업의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한국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시대에 지입했으며 고용창출 및 분배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잠재 성장률의 지속적인 감소가 이루어지며 주력산업의 제조기업의 매출이익률과 영업이익률 감소로 성장이 둔해지며, 낙수효과의 효력상실 과 디커플링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낙수효과란 대기업이 성장하면 그 해택이 중소기업으로 흘러 선순환 되는 효과를 뜻함
디커플링 현상이란 사업구조 자체가 달라져 오히려 연결고리가 약화되는 현상을 의미함.

이로 인해 청년 일자리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이라는 산업 전반의 체질 변화 직면으로 노동력 수요와 일자리의 급감이 예상 됩니다 (AI와 블록체인 등등으로 인한 )

세계적으로 융합 기술 산업구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의 사업화 기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대학원 창업 등을 통해서 취업률을 늘려보자는게 핵심이다.

기술이전을 하는것 만으로는 돈을 벌기가 어려우므로 MIT 스탠포드처럼 스타트업을 지원함으로써 해결하자는것이다.

 

일단 대학의 지원을 하게 된다면 연구장비와 리소스를 대학에 연구하고 있는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창업하기에 정말 좋은 환경을 가질수 있으며, 해당 인프라 또한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술사업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