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호스팅의 경우 언어 및 프레임워크 지원 대상을 확인 해야 합니다.
웹 사이트를 구축한 후 호스팅을 할 업체 선정은 정말 중요한 사항입니다.
웹사이트의 속도와 안정성, 보안, 가동시간 등 모든것이 이 호스팅 선택에 따라 바뀝니다.
만약 잘못된 선택을 한다면 마이그레이션(서버 이식)을 하는데 힘듬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호스팅을 선택할 때는 호스팅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술 요구사항을 확인해야합니다 .
필자의 경우 언어및 프레임워크는 python 기반의 Django를 사용해서 웹을 개발 했습니다.
하지만 아래 사이트의 호스팅에서 지원되는 프레임워크에는 Django는 없으며, PHP나 JSP, NODE.js등을 지원합니다.
이렇듯 웹 호스팅의 경우 언어 및 프레임워크에 제한사항이 있습니다.
만약 필자와 같이 Python이나 다른 언어를 이용해 웹 개발을 했다면 클라우드 호스팅이나 서버호스팅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는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 호스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 호스팅의 가장 큰 차이는 물리적 서버냐 가상 서버냐 차이입니다.
서버호스팅의 경우 물리적 서버를 이용하며, 클라우드 호스팅은 가상 서버를 이용하게 됩니다.
두 경우 전부 서버 관리 인력이 필요하며, 관리자 권한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를 물리적으로 임대/구매 하냐 단독으로 사용하냐 차이가 있으며,
월 정액제로 하냐/ 사용한 만큼 내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약간 보수적인 직장에 다니고 있어 클라우드 호스팅 보다는 서버호스팅이 조금 더 맞는것 같습니다만...
서버호스팅의 경우에도 제약사항(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참고로 클라우드 호스팅에서 CDN 사용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 CDN이란? Content Delivery Networks 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입니다.
웹어플리케이션 및 스트리밍 미디어를 비롯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최적화 된 분산된 서버로 이루어진 플랫폼입니다.
이 서버는 물리적 위치와 네트워크 위치에 분산되어 웹 콘텐츠에 대한 엔드유저의 요청에 직접적으로 응답하고 빠르고 안전한 미디어 전송을 보장합니다.
CDN은 즉 콘텐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중재자 역할입니다.
요약하자면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서버(Origin Server)로 부터 컨텐츠(ex, Web Object, Video, Music, Image등)을 다운로드 받을때 가까이 있는 서버로 부터 받는것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까운 곳에 위치한 Cache Server에 해당 컨텐츠를 저장(캐싱)하고 Content 요청 시 Cache Server가 응답을 주는 기술임.
홈페이지에 사진이나 동영상 음성이 많다면 쓸 필요가 있지만 아니라면 엄청 필요하진 않다고 생각된다.
물론 사용한다면 트래픽 유도를 줄일 수 있겠지만 게임서버를 운영하는것은 아니므로 엄청난 트래픽이 올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호스팅 선택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작성했습니다.
그럼 다음번에도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 웹 기획 및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경비와 기술료에 대해서 - 홈페이지 금액 산정은 어떻게 해야되는가? (0) | 2020.01.14 |
---|---|
웹 기획 - 홈페이지 와이어프레임 작성건 실제 예시 (0) | 2020.01.13 |
웹 기획 - 홈페이지 벤치 마킹 참고 문서 (0) | 2020.01.02 |
웹페이지 기획 - 와이어프레임 I 스토리보드 I 프로토타입 - 스토리보드편 (0) | 2019.12.26 |
웹페이지 기획 전 할일 - 홈페이지 벤치 마킹에 대해서.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