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프로그래밍/웹 기획 및 프로그래밍

제경비와 기술료에 대해서 - 홈페이지 금액 산정은 어떻게 해야되는가?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란입니다. 

요즘 홈페이지 제작업체 선정을 위해 견적서를 요청드리고 있어요. 

그러던 중 견적서에 인건비는 이해를 하겠지만 제경비와 기술료 항목이 견적 금액에 포함이 되어있더라고요. 

(모든 기업에서 인건비 + 제경비+ 기술료를 선정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과연 제경비와 기술료가 무슨 항목이고, 왜 인건비 소계에 %로 선정을 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래 그림은 견적서에 포함된 금액 목록 예시입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제경비와 기술료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경비란?

직접비(직접인건비와 직접 경비)에 포함되지 않고 소프트웨어 사업자의 행정운영을 위한 기획, 경영, 총무 분야에서 발생하는 간접 경비로 임원, 서무, 경리직원 등의 급여, 사무실비, 사무용 소모품비, 비품비, 회의비, 공과금 등이 포함됩니다. 

 

기술료란?

소프트웨어사 사업자가 개발, 보유한 기술의 사용 및 기술 축적을 위한 대가로 조사연구비, 기술개발비, 기술훈련비 등을 포함합니다. 

 

즉 정리하자면 제경비는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간접 경비를 의미하며, 

기술료는 사무실의 구성원들의 기술 훈련과 보유 기술 축적을 위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설명을 적어놓고 보니 당연히 회사 운영을 하는데 필요한 금액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인건비는 어떻게 측정할까요?

 

인건비란?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6조의 규정에 따라서 능력별로 아래와 같이 나뉘게 됩니다. 

그렇다면 기능사 기술자 기술사 어떻게 판가름하면 될까요?

그 기준도 아래와 같습니다. 

 

네, 해당 조건에 따라서 능력을 나눕니다. 

 

위의 표를 참고해서 정해진 임금에 일한 기간을 곱하면 인건비 단가가 계산이 됩니다. 

 

그렇다면 기간산정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이 부분은 다음번 포스팅에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간 산정은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

이와 같이 참고해서 견적서를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다음번 포스팅에서도 좋은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