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마크다운이 뭐지?
html을 공부해 보신 분들은 태그에 대해서 들어보았을 것이다.
<p>, <br>, <li>, <h1>와 같은 태그들 말이다.
이런 태그를 문서를 작성할때 원하는 곳에 자유롭게 쓸수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한 적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문서 에디터에서 제공하는 것들 외의 것들 말이다.
티스토리를 쓰다보면 기본모드에서 제공하는 문서 양식 외 좀더 다양한 양식들의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티스토리에서는 마크다운이라는 모드가 존재합니다.
2. 마크다운의 장점과 단점
- 장점: 문법이 복잡하지 않다. (복잡한 html 문법이 필요하지 않다)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다.
코드 블럭을 지정할 수 있다. > it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이 부분이 가장 핵심일 듯 합니다. - 단점: 표준 부재
익숙치 않다 > 적응이 필요하다.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없이 익히면 편하게 사용 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됩니다.
3. 마크다운의 간단한 문법 정리
- 제목 설정 (h1 ~ h6) : #의 갯수로 h1 ~ h6 단계 표현이 가능합니다 . ex) ##h2제목 , #####h4제목
- 인용구문(blackquote): 문장 앞에 > 를 입력한다.
- 리스트(<ul> <ol> ): 순서없는 리스트의 경우 -, *, + 을 문단 앞에 사용한다 ex) - something, *something +something
순서있는 리스트의 경우 1. 2. 라는 숫자를 사용한다. - 글씨 강조하기(<strong>, <em>, >del>): 글씨 강조하기는 **something** 를 사용한다.
: 글씨 밑줄은 __something__ 를 사용한다.
: 글씨 취소는 ~~something~~를 사용한다. - 링크걸기(<a>) : 표시할 텍스트, 연결할 url을 [표시할 텍스트](연결할 url)로 표현한다. ex) [마크다운 사용법](siran.tistory.com)
- 코드 블록걸기(<pre><code>): 코드 부분을 single quote(`)로 감싸면 된다 ex) ``` 코드```
참고로 mac pro 에서는 `키 대신 ₩키가 있을 겁니다. 이때는 option key +₩를 같이 누르면 나오게 됩니다.
4. 이외의 유용한 단축키들
문단 스타일
스타일 | PC | Mac |
제목1 (h2) | Alt+Shift+2 | Ctrl+Alt+2 |
제목2 (h3) | Alt+Shift+3 | Ctrl+Alt+3 |
제목3 (h4) | Alt+Shift+4 | Ctrl+Alt+4 |
문단3 (p) | Alt+Shift+7 | Alt+Shift+7 |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제공하는 문단 스타일은 제목1이 HTML의 h2에 해당합니다. 글 제목이 h1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인용과 다른 문단 스타일은 단축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글자 스타일
스타일 | PC | Mac |
굵게 | Ctrl+B | Command+B |
기울임꼴 | Ctrl+I | Command+I |
밑줄 | Ctrl+U | Command+U |
기타 액션
액션 | PC | Mac |
전체선택 | Ctrl+A | Command+A |
실행취소 | Ctrl+Z | Command+Z |
다시실행 | Ctrl+Y / Shift+Ctrl+Y | Command+Y / Shift+Command+Y |
링크삽입/수정 | Ctrl+K | Command+K |
5. 앞으로 계획: 지금까지 마크다운 문법을 간단하게 알아봤으니 티스토리에 마크다운을 이용한 문서를 작성해서 올려볼 계획입니다.
반응형
'IT 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몽 케이스 리뷰] 갤럭시 버즈2 프로와 메타몽 케이스를 사보았습니다. (0) | 2023.07.19 |
---|---|
제품 리뷰 - 갤럭시 버즈 프로 - 전작들에 비해 나아진점 비교 및 전화품질에 대해서.. (1) | 2020.03.16 |
제품 리뷰 - 비츠 스튜디오 와이어리스3 언박싱, 후기 및 안드로이드 연결법, 노이즈 캔슬링 방법 (1) | 2020.03.14 |
통신사 요금제 선택시 Mbps에 대해서 , 유튜브 시청에 영향을 끼치는 점 (0) | 2020.02.27 |
네트워크 구성 - VPN , DMZ Zone, PAT 와 NAT에 대해서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