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지식

통신사 요금제 선택시 Mbps에 대해서 , 유튜브 시청에 영향을 끼치는 점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란입니다. 

이번에 폰을 바꾸면서 통신사 또한 바꿔보려고 하고 있어요.

그러는 와중 무제한 요금제에서 속도 제한을 걸고 무제한을 쓸 수 있는 요금제가 있었는데요

이 요금제의 속도제한과 과연 잘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Mbps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bps란 Bit Per Second란 의미로, 1초에 전송되는 bit수를 의미합니다. 

Mbps의 M은 Mega를 의미하며, 수치의 단위입니다. 0이 얼마나 붙냐에 따라서 K M G T 등으로 가죠

킬로(Kilo), 메가(Mega), 기가(Giga), 테라(Tera) 이죠.

숫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수치
킬로(Kilo) 1,000
메가(Mega) 1,000,000
기가(Giga) 1,000,000,000
테라(Tera) 1,000,000,000,000

물론 다른 단위들도 있지만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Mbps의 의미를 아시겠죠? 1초에 백만단위의 Bit를 전송 할수 있는 량입니다. 

1Mbps면 1초에 100만 bit를 전송한다는 의미입니다 .

여기서 조금만 더 공부해보시죠!

기본적으로 우리가 속도에서 사용하는 단위는 Bit가 아닌 Byte입니다. (컴퓨터가 사용하는 저장단위입니다.)

Byte란 bit의 모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1Byte = 8 bit입니다. 

그렇다면 1Mbps는 1초에 몇 바이트를 전송할까요?

1,000,000(1M bit) / 8(1byte) = 125,000(byte) 즉 0.125MB(Mega Byte)가 됩니다. 

 

참고로 기본적인 LTE속도는 20Mbps입니다. 즉 12.5MB인거죠!!

 

 

 

그럼 본론으로 돌아와서 데이터 요금제 선택 시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10GB와 데이터 소진시 3Mbps로 속도로 무제한 사용가능하다는 내용인데요?

3Mbps의 뜻은 이제 아시겠죠?

그러면 이 3Mbps의 속도가 얼마나 좋을지 안좋을지 체감이 안되실겁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유튜브를 어떤 화질로 볼때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겁니다. 

 

아래 표는 각 화질별로 최소 권장되는 속도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동영상 해상도 최소 권장 속도
SD 1Mbps
HD 3Mbps
FHD 5Mbps
4K 20Mbps

 

보통 해상도는 FHD (풀 HD)로 많이 보시니깐요. 

적어도 3~5Mbps를 제공해주는 요금제를 선택하는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아니면 영상을 보다가 버퍼링이 걸리게 되니깐요.

 

이상 Mbp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