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지식

픽셀과 해상도에 대해서

반응형

영상 화질에 대한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꺼에요 

FHD TV, UHD TV HD급 화소. 4k 등등

 

그러면 화소라는건 뭘까요?

영상은 일단 가로와 세로에 있는 픽셀의 양으로 화질을 나눕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픽셀의 갯수가 많아서 그만큼 좋은 화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픽셀의 양에 따라 해상도를 나누는 기준이 됩니다. 

 

여기서 픽셀이란건 무엇일까요?

픽셀은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의 네모 모양의 점을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네모상자가 보일텐데요, 이 네모상자 하나를 픽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픽셀아트, 마릴린먼로

만약 픽셀의 갯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정교해지겠지요. 

해상도는 이런 픽셀의 갯수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HD화질 (해상도)를 생각해보면 

HD는 가로 1280, 세로 720개의 픽셀로 이루어져있습니다. 

1280 x 720 = 921,600 개의 픽셀이지요

약 92만개의 픽셀로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HD화질의 이미지를 조그마한 모니터에서 볼때는 불편함이 없지만 모니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위의 마릴린 먼로 픽셀그림과 같이 사각형 모양의 픽셀이 보이겠지요.

 

그럼 일반적인 해상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해상도는 위에서 말했듯 픽셀의 밀도 에 따라서 달라진다. 정해진 이미지 사이에서는 높은 해상도가 좀더 세밀하다는것은 위에서 이해했을것이다.  그리고 크고 세밀한 이미지(고화소)일수록 처리해야할 픽셀이 많아 그만큼 하드웨어 스펙이 높아져야만 한다. 아니면 처리하는 속도가 늦어질 것이다. 

보통 해상도라 하면 모니터나 사진 등 출력장치에서 사용되고 각각 정해진 규격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해상도에 대해서 알아보겟습니다. 

해상도 별 크기

HD : 1280 x 720

FHD : 1920 x 1080

QHD : 2560 x 1440

4k UHD : 4096 x 2160

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FP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