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3.02.03/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SR 책 소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수록작인 관내분실 이 단편으로 문학상을 받은 작품이다. 작품내 세계에서는 장례식, 화장에 이어 우리의 생전 자아를 보관하는 도서관이 생김 작품 내 주인공은 자신에게 사랑을 잘 주지 않았던 엄마의 생전 정보(도서관에서의 자아)를 찾기위해 도서관을 찾았다 관내분실 됐다는 사실을 알게 됨 분실된 엄마에 대한 정보를 찾아가며 임신 시절 겪던 산후우울증과 임신으로 인한 직장 퇴사 등을 겪게 된 스토리를 알게되며, 자신의 삶을 잃어버린 엄마를 알게된다. 이후 결국 엄마의 기억을 찾게되며, 엄마를 찾게된 기억속 그곳은 엄마 자신의 꿈들로 가득찬 방이였고, 그제서야 엄마를 이해하게 된 주인공을 보여주며 이야기는 끝나게 됨 감상평 사실 작품내 주제는 하나로 정리가능할 것 .. 23.01.30/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SR 책 소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단편 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타이틀과 단편과 제목 동일) 역시나 sf소설. 냉동기술을 개발하던 과학자의 얘기였다. 냉동기술을 통해 우주여행을 하던 트렌드에서 웜홀의 존재가 나타나면서 오히려 냉동기술을 통해 갈수 있던 근방의 단거리 우주보다 웜홀을 이용한 장거리 우주가 더 가까워진 상황 발생. 단가가 맞지 않아 단거리로 가는 사람들은 없어졌으며, 대부분 사람들은 웜홀을 이용한 장거리 우주로 이민을 가게 되면서, 단거리 우주에 있던 슬렌포니아 행성으로 먼저 보낸 가족들을 그리워 하며 우주정거장 한 곳을 불법 점거하고 있는 과학자 얘기. 먼저 이민 가버린 가족들을 그리워하며 우주정거장에 불법 점거하자 이를 철거하기 위해 온 직원과 대화를 하다 결국 .. 23.01.27/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SR 책 소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중 -공생가설 단편 우리가 7살까지의 기억을 잃고 어른이 되는 이유를 ‘류드밀라’라는 행성의 숙주가 7세까지의 어린아이의 뇌에 공생하고, 7살 이후 그 숙주가 기억과 함께 사라지기 때문이라 표현함 그러면서 숙주는 어린아이에게 여러가지 인간성에 대해 알려주며 동시에 멸망한 ‘류드밀라’를 그리워 함. 인간 뇌 과학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밝혀내면서 류드밀라 행성 숙주에 대한 의문을 표하며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감상평 보통 우리는 유년시절의 기억을 나이가 먹어서는 잊고 산다. 나 또한 유년시절 특히 7살 이전의 기억은 하나도 기억나지 않는다. 여기서 작가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류드밀라 라는 행성의 숙주에 대해 생각을 했으며, 그 예시로 미트콘드리아를 든다. 참고로 미토콘.. 이전 1 다음